google.com, pub-4259828679214351, DIRECT, f08c47fec0942fa0 [난방비 절약 Tip] 올라도 너무 오른 도시가스 : 난방비 폭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과 이슈

[난방비 절약 Tip] 올라도 너무 오른 도시가스 : 난방비 폭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by 밥앤김 2023. 1. 25.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강 한파를 맞이해 올 겨울 가장 핫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도시가스 요금, 즉 난방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안 그래도 고물가인 요즘 시대에 올라도 너무 오른 난방비 요금에 한숨 쉬는 세대가 늘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출처 : 연합뉴스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가파르게 난방비가 인상되었을까? 에 대해 얘기해 보자면,


지난해부터 장기간 이어져오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여파로 인하여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급난이 발생하면서 국내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액이 약 70조 원이나 급등했으며 이러한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과 고환율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1월 25일 한국도시가스협회에 따르면 이번 달 서울 도시가스의 소매요금은 1 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 당 19.69원으로 전년 동기(14.22원) 대비 38.4% 상승했으며, 또 산업통장자원부에 따르면 주택용 열요금은 Mcal당 89.88원, 도시가스 요금은 19.69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37.8%, 38.4% 상승했다고 합니다.

이렇듯 최강 한파에 도시가스 요금 인상때문에 생활비 직격탄을 맞은 세대들이 많은데 지난해 말 기준으로 봤을 때 한국가스공사의 누적 손실이 약 9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2023년 2분기 난방 요금의 가파른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인상액은 지난해보다 최소 1.5배에서 1.9배가량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올라도 너무 오른 난방비에 대한 대책은 어떻게 마련해야할까?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알려주는 꿀팁)

* 도시가스 요금 절약 방법 Tip !!

1. 온수 사용 이후 수전 냉수 방향으로 돌려놓기

2. 보일러 예약 또는 외출 모드 이용하기

3. 일상에서 체온 올리기 ( 옷 껴입기, 수면양말, 수면잠옷 활용하기 )

4. 실내 적정 난방 온도 설정하기 (18~20도) / 적정 실내 습도 유지하기 (40~60%)

5. 보일러 청소를 주기적으로 습관화하기

6. 방한, 방품용품 활용하기

  • 실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한 이유는, 20℃ 에서 1℃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15% 이상 상승하게 되며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다가 덥다고 느껴 보일러를 껐다가 재가동시키는 경우에 가스 소비량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내 난방온도를 1℃만 낮게 설정해도 에너지 소비량을 7%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보일러 가동과 함께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하여 적정 실내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유는 실내에서 적정 습도 40~60%를 유지하면 열전달이 빨라져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보일러를 완전히 끄면 일정온도까지 재가동하는데 훨씬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외출 기능을 활용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하면 도시가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10시간 이내로 귀가한다면 외출 모드를 이용하며, 한겨울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로 이틀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되는 날에는 발표하는 한파주의보 발령 시에는 예약/외출 기능 대신 15℃ ~17℃ 정도로 실내온도 설정을 유지하면 동파를 막으면서 집안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난방비 절약 대책


실제로 이러한 여러 난방비 절약 방법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에너지절약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에너지절약 효과분석 : 도시가스 캐시백 홈페이지 출처

생활에서 난방비 절약을 위해 노력했다면,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을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이란?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한국가스공사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
전년도 사용량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 참여대상 > 
 
‘주택난방용/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 가능
( 단, 난방 목적이 아닌 취사용/취사전용 요금제 사용자, 전출 세대 등 전년도 사용량 자료가 없는 세대는 참여 제외)

 

< 신청기간 >
 
2022. 12월 ~ 2023. 1월 (2개월)
< 절약기간 >
 
2022. 12월 ~ 2023. 3월 (2023.1 ~ 4월 고지서 발행분)
< 캐쉬백 지급기준 >
 
전년 동기간 대비 7%이상 절감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쉬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구분 7% 이상 절감시 10% 이상 절감시 15% 이상 절감시
캐쉬백 지급 단가 30원/㎥ 50원/㎥ 70원/㎥


얼마 남지 않은 도시가스 캐시백까지 챙기시고 올 겨울 난방비 폭탄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