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조직이론 _ Organizational Theory
목차
1. 개요
조직이론이란, 조직 내의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이 아닌 조직 자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경영이론을 말한다.
그리고 조직에 관한 이론은 분석의 단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조직 내의 개인이나 소집단의 행동을 연구하는 것으로 많은 경우 이를 조직행동론이라 부른다. 다른 하나는 조직 자체의 내부적, 대환경적 행동을 연구하는 분야로 보통 이를 조직이론 (Organizational Theory)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위의 두 경우가 다 조직에 관계되는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보아 조직행동론에 포함하기도 한다. 최근에 분석 수준을 달리하여 미시와 거시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즉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것을 미시 조직론이라 하고, 조직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것을 거시조직론이라 한다. 여기서 거시조직론이 앞으로 칭하는 “조직이론”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조직구조의 목적
- 합리적 관점 : 조직구조를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보기 때문에, 경영자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조직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견해이다.
- 사회적 관점 : 조직구조란 권력과 통제권을 획득하려는 조직의 구성원들 간 갈등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적 관점의 이론들은 조직구조란 경영자가 합리적으로 창조하기보다는 조직 구성원 간 상호작용이나 갈등으로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다.
3. 분류
< 조직이론의 4가지 분류>
조직론은 조직의 시스템 관점과 조직구조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된다.
폐쇄적-합리적 조직이론 / 폐쇄적-자연적 조직이론
개방적-합리적 조직이론 / 개방적-자연적 조직이론

조직에 관한 일종의 사고방식(a way of thinking about organization)으로 조직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조직 내의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이 아닌 조직 자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경영이론이다.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이 조직이론을 분류해 온 가운데 스탠포드 대학교 명예교수 스코트(Scott, W.)의 분류가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스코트 교수에 의하면 조직이론은 조직에 대한 관점과 인간에 대한 관점에 의해 총 4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조직에 대한 관점은 환경에 대한 개념이 이론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폐쇄적 관점과 개방적 관점으로 구분되고, 인간에 대한 관점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하는지 아니면 자연적 또는 사회적 존재로 가정하는지에 따라 합리적 인간관과 자연적 인간관으로 구분된다.
이 결과 제시된 유형은 폐쇄적-합리적(closed-rational) 조직이론, 폐쇄적-자연적(closed-natural) 조직이론, 개방적-합리적(open-rational) 조직이론, 개방적-자연적(open-natural) 조직이론 4가지이다. (참조 : 두산백과)
폐쇄적-합리적 조직이론
1900년대에서 1930년대 사이를 지배했던 이론들을 의미한다. 베버(Weber, M.)의 고전적 관료제론, 테일러(Taylor, F.)의 과학적 관리론, 파욜(Fayol, H.)의 관리 이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 이론들의 기본 가정은 조직은 외부환경과 단절된 폐쇄 시스템이고 조직 구성원들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폐쇄적-합리적 조직이론은 조직을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조직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장점이 있지만, 인간적인 측면을 간과한다는 단점도 있다.
폐쇄적-자연적 조직이론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를 지배했던 이론들로서, 이들은 주로 폐쇄적-합리적 조직이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개발되었다. 맥그리거(McGregor, D.)의 XY이론, 메이요(Mayo, G.)의 인간관계론, 셀즈닉(Selznick, P.)의 제도화이론 등이 여기에 속하며, 이 이론들은 폐쇄적-합리적 조직이론과 달리 조직 구성원을 자연적이고 사회적인 존재로 여기며 인간적인 요소들을 고려한다. 이렇듯 인간의 사회적 욕구를 강조하고 비공식적 조직에 대해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방적-합리적 조직이론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지배했던 이론들을 의미하는데 조직을 외부환경과 단절된 폐쇄 시스템으로 인식하던 이전의 관점에서 벗어나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개방 시스템으로 본다. 즉 조직을 유기체로 보며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직구성원들을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존재로 간주한다. 대표적으로 대리인 이론과 거래비용 등의 조직 경제학 이론들, 로렌스(Lawrence, P.)와 로시(Lorsch, J.)의 상황적합론 등이 있다.
개방적-자연적 조직이론
1970년 이후 비교적 최근의 이론들을 의미한다. 조직의 외부환경을 중시하고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을 감정 측면에서 행동하는 사회적 존재로 보면서 이전의 개방적-합리적 이론에서 설명하기 어려웠던 비합리적 행동을 설명해준다. 페퍼(Pfeffer, J.)의 자연의존이론, 마치(March, J.)의 쓰레기통 모형, 센게(Senge, P.)의 학습조직이론 등이 있다.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마케팅 공유가치창출 (CSV) (0) | 2022.10.10 |
---|---|
[경영학] 인적자원관리 - 임금피크제 (0) | 2022.10.10 |
[경영학] 마케팅 믹스 - 4P전략 (0) | 2022.10.10 |
[경영학] 조직이론 (메트릭스 조직의 강점과 약점) - matrix structure (0) | 2022.10.08 |
[경영학] 마케팅 전략 (세분화, 목표시장 선정, 포지셔닝) - STP 전략 (0) | 2022.10.07 |
댓글